부처님 소나무 외 4편/이영신
부처님 소나무
목포에서도
멀리 더 멀리
나가 앉은 홍도 단옷섬
절벽엔
소금 바람소리에 키가 자라지 않는
소나무 한 그루 살고 있다.
발아래엔 풍란 한 포기 키우질 않는다.
빠돌 하나도 거느리지 않는다.
혼자 살고 있다. 친구도 먼 친척도 하나 없다.
저녁때면 이장을 맡은 낙조가
불그름해진 채로 한 번 휘익 돌아보고 갈 뿐
검푸른 바다 들판에
돔, 농어네 가족 희희낙락하는 것
물끄러미 바라보고,
시간이 들여다보고 물러나면
솔잎 옷 어쩌다 갈아입고…
한 번도 ‘호젓하다’ 말하지 않는다.
입이 무겁다.
차마고도 , 캐러밴
자칫
헛디디기만 해봐라
수심 600미터의
호수,
어디 어림짐작이라도 해봐라
나의 살
나의 머리카락
나의 뼈
나의 정수리 백회혈
짙푸른 호수 속에는
정결한 제사상이 하나 놓여있네.
묵묘墨墓
쑥부쟁이 칡덩굴 가시여뀌
10월 바람에 한 풀 꺾이니
있는 듯 없는 듯 하던 묵묘墨墓가 드러났다.
둥그스름하게 드러났다.
누구네 집 누구라 불리우던 이름도 없이
성씨 하나도 없이
피붙이는 저 푸른 하늘 저 뒤 어디
언뜻 보여졌다 스러지는 구름 한 조각이거니
그냥 침묵을 담은 말줄임표이거니
기다리다 기다리다 봄 여름 겨울, 겨울 지나
잎 지고 흩날리는 백암산 늦가을 속
볕 좋은 입동 전 날
묵묘 주인장 모처럼 느긋해지는 하루
한 마디 툭 내던진다.
그대 잠깐 쉬어갈 자리로 내주면
앉을텐가?
묵언默言
그이는 이미 저승 쪽으로 한 발 내디디며,
얼굴 닦아드릴 수건을 꺼내 세숫대야에 물을 받자
물소리
유난히 콸콸 쏟아지네.
수건을 적셔 물을 짜내니
물소리 무심하게
또롱또롱 떨어지네.
물아,
수돗물아,
냇물아 강물아,
바닷물아,
종내는 하늘로 흘러갈 물들아.
날 좀 어떻게 해 다오!
라 캄파넬라
칡덩굴과 산딸나무 사이
우둘두툴한 자갈 위에 처음 보는
무늬 천이 있구나.
가죽혁대와 같은 무늬 천이 놓여 있구나.
찬찬히 살펴보니 누룩뱀이 옷을 갈아 입고 갔구나.
누룩뱀이 벗어 놓고 간 겉옷이구나.
엄마가 지어 입힌 그 옷을 벗느라
꽉 끼인 그 옷을 벗어내느라
몸부림을 쳤겠구나. 무척이나 쳤겠구나.
초승 달빛을 전등 삼았을까?
새벽 별빛을 전등 삼았을까?
누가 손 잡아주었을까?
그 누가 손 잡아주었을까?
옷 하나 벗고 새옷 갈아입기도
만만찮다고
한나절 사이 톡톡히 값을 치렀구나.
숨 한번 내쉬는 것도 만만찮다고
값을 치렀구나.
-시집 '부처님 소나무'-
이영신 시인
덕성여대 도서관학과 졸업
1991년 '현대시' 신인상
2009년 '문학과창작' 작품상
시집 '망미리에서' '죽정리 흰 염소' 부처님 소나무'
'시의 나라' 동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