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산맥 2013 가을호 게재
21
옹기전에서
상대방이 말할 때 고함을 크게 질러야 *재와 말귀를 알아듣는, 가는귀가 살짝 묵은 ‘할매네 옹기전’의 안주인 ‘갖난이 할매’가 *가분데 손가락 끝마디를 꼬부려서 곧추세와 가주고서는 독아지 배때기로 콩콩 두딜기마 고 독아지 배때기에서 통통 울리 나오는 소리를 듣고 독아지에 금이 갔거나 깨진 거로, 귀가 잘 들리는 사람보다 구신겉치 골리낸다는 이야기
떡 본짐에 지사祭祀 지낸다는
말이 있듯이
밍절 대목에는 모도가 돈을랑
쪼매씩 만지이끼네
또 마츰 추석 밍절 지내고 나마
바로 짐장철이 닥치고
짐창절이 지내고
또 겨울을 넝기마
바라 딘장, 간장을 당가야 하지렁,
이래저래 기왕지사 대목장 보로
시장에 나온 김에
‘짐장 담굴, 짐장 도오로
한분 들바다 본다’
‘또 간장, 딘장 도오로
한분 들바다 본다’
캐쌓아민서
옹기전이
사람들로 항상
뽁딱거린다.
*재와 : 겨우
*가분데 : 가운데
-상희구 시집 『추석대목장날』 중에서-
대구가 고향인 상희구시인의 대서사시의 서막이 열렸다. 시인은『大邱』라는 시집에 이어 대구의 사투리를 구사하는 <모어로 쓰는 연작장시> 두 번째로 『추석대목장날』이라는 시집을 펴냈다. 앞으로 10권까지 펴낼 생각이라고 하니 그 작업이 대단하리라 기대된다.
우리 나라 사람들은 추석대목이 다가오면 장이 붐비고 모두 들떠 있었다. 지금은 일부 지방에서만 5일장이 형성되고 대부분의 도시에서는 재래시장이니 대형마트니 해서 항상 장을 볼 수 있지만, 예전에는 장날이면 독특한 문화가 형성되고 특히 풍성한 가을 추석대목장날은 일종의 축제 같기도 하던 그런 시절이 있었다. 이 시집에 나오는 인흥장仁興場은 대구의 대표시장 중의 하나인 칠성시장의 모습을 묘사하여 그 1950, 60년대의 추석대목장날 옹기전의 모습을 구수한 대구 사투리로 읊은 시다. 추석에 꼭 필요한 용품은 아니지만 옹기전까지 사람들로 붐비는 모습을 담아 추석의 정겨운 모습을 담았다. 뿐만 아니라 가는귀가 살짝 먹은 할매의 모습을 담아 장애우들의 활발한 삶을 자연스럽게 나타내기도 했다. 이 시집은 이렇게 여러 계층 중 특히 서민들의 삶의 애환을 많이 다루었다. 나처럼 대구가 고향이거나 또는 지방이 고향인 사람들에게는 더할 나위 없는 향수를 불러일으키기도 하고, 모든 사람들에게 고향과 명절의 설렘과 풍성함을 마음껏 느낄 수 있게 해주는 작품집이 아닐 수 없다. (황경순, 시인)
'시인 그리고 책'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수성못/상희구/ 대구 제3시집『노곡동 징검다리』 (0) | 2015.01.09 |
---|---|
황경순외10인영역시집English Version of “New Sprouts within You” Published by Literature Academy (0) | 2014.11.05 |
나비경기장에서의 패자부활전/박정원/시산맥작품상추천평 (2) | 2013.05.20 |
영육을 탁본하다/김세영 시집 '물구나무 서다' (3) | 2013.03.22 |
이건청 시집 『굴참나무 숲에서』중 「청어를 굽는 저녁」 (6) | 2012.09.19 |